예배자의 마음과 태도 그리고 그 예배의 중심과 예수님의 진리가 있느냐가 더 중요한 것…

https://yspc.org/wp-content/uploads/2021/05/2021-05-02web.pdf#page=8

백운영목사님 목양칼럼

팬데믹으로 인하여 접촉을 기피하는 모습에서 나온 용어가 “언택트”(Untact)입니다. 접촉을 뜻하는 Contact에 부정적인 의미를 주는 Un 을 접두사로 연결한 것 입니다. 한국어로는 “비대면”이란 말을 사용합니다. 그러다가 재택근무가 사회적 현상이 되었고 뿐만 아니라 온라인 수업, 온라인 예배, 온라인 콘서트가 확산하면서 온라인을 뜻하는 On의 접두사로 표현되는 “온택트” (Ontact) 라는 말이 언젠가부터 자연스럽게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 지난 일 년간 세계는 그냥 정지해 있던 것이 아니라 오히려 더 많은 발전을
거듭했습니다.

그동안 서서히 진행 중이던 고객을 직접 마주하지 않는 온라인 주문과 배송하는 기술적 발전이 팬데믹이라는 복병 때문에 훨씬 빨리 우리 곁에 다가오게 되었습니다. 그것만이 아니라 이제는 전시회, 공연, 심지어는 집에서 세계의 유명한 관광지를 인터넷으로 경험할 수 있는 랜선 투어까지 상품이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다양한 스마트 기술이 코로나 시대를 지나면서 상상을 초월하는 발전을 이루고 소비자들에게 간접적인 경험을 주는 체험 미디어가 빠르게 자리 잡고 있습니다. 교육도 ZOOM이나 Google 미팅이란 플랫폼을 사용하여 온라인 수업을 진행하는 것이 이제는 필수가 되었습니다. 영상이나 사진을 송출하면 집에서 받아보고 숙제도 동영상으로 촬영하여 모든 학우들이 볼 수 있도록 스크린 쉐어를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학교에서 교실 앞에 나와서 발표하는 효과를 넘어서 학생들의 참여도가 오히려 높아지는 선순환적인 긍정적 반응들도 있습니다.

교회도 마찬가지로 지난 일 년간 온라인으로 예배와 수련회, VBS, 성경 공부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답답하다고 하시는 분이 계신 반면, 오히려 발전했다고 격려하시는 등 다양한 반응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최근에 일 년 넘게 예배당에 못 나오시고 온라인 예배를 드리다가 백신주사를 맞으시고 다시 나오신 분들은 눈물을 글썽이며 이제 숨을 쉴 것 같다는 표현을 하십니다. 영적으로 움츠렸다가 이제 살아났다는 표현입니다. 성도들은 온라인으로 개인 신앙을 지켜나가기에는 만족 할 수 없는 영적인 채움이 필요한 하나님의 사람들입니다. 예수님께서 사마리아 여인에게 예배의 장소와 관련하여 주신 말씀이 있습니다. “이 산 (그리심 산)에서도 말고 예루살렘에서도 말고” 하시면서 “예배하는 자는 영과 진리로 예배할지니라” 고 하셨습니다. (요 4:21, 24) 장소 보다는 예배의 마음과 예배의 대상이 누구인가가 더 중요하다고 확인 시켜 주신 말씀입니다.

팬데믹이 종식되면 다시 예배당에 나오느냐, 온라인으로 계속하느냐의 장소 문제보다는 예배자의 마음과 태도 그리고 그 예배의 중심과 예수님의 진리가 있느냐가 더 중요한 것입니다. 그리고 신앙은 하나님과의 관계이고 성도들과의 관계도 큰 비중을 차지합니다. 교회는 건물이 아니라 공동체이기 때문에 우리의 신앙은 성도들과 함께 할 때 예배의 감격도 살아나고 교회의 섬김과 베풂, 성숙이 만들어지게 됩니다. 교회는 유기체이므로 서로 만남을 통해서 신앙의 진전이 이루어지는 것입니다.

아멘!